[초보용] 저장매체(하드디스크) 표기 용량과 실제 용량이 다른 이유는?
[초보용] HDD와 SDD는 무엇인가? 개념 이해 (tistory.com)
[초보용] HDD와 SDD는 무엇인가? 개념 이해
[초보용] HDD와 SDD는 무엇인가? 개념 이해 HDD란? 보통 하드라고 말하기도 하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k Drive)라고 부릅니다. 컴퓨터의 주요 저장장치로 사용되며 내부에 플래터(디스크)를
addplus.tistory.com
우리가 하드디스크(HDD) 1TB를 구매해서 컴퓨터에 연결해보니 막상 930GB 정도밖에 인식되지 않아서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SSD도 128GB를 컴퓨터에 장착했을 때 내 컴퓨터에서 표시되는 용량이 119GB 정도 표시됩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요?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컴퓨터의 2진법 계산법 때문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저장장치의 용량을 표시하는 단위는 10진법입니다.
1 KByte = 1000 byte
1 Mbyte = 1000 KByte
1 GByte = 1000 Mbyte
1 TByte = 1000 Gbyte
컴퓨터의 저장장치의 용량을 표시하는 단위는 2진법입니다.
(2진법은 0과 1의 조합)
1Bit = 8 byte
1KB = 1024 bytes
1MB = 1024 KB = 1048576 bytes
1GB = 1024 MB = 1048576 KB = 1073741824 bytes
1TB = 1024 GB = 1048576 MB = 1073741824 KB = 1099511627776 bytes
나무 위키에서는 표기 용량과 실제 용량을 의 차이를 이렇게 비교하였습니다.
표를 보시면 비고에 각 단위당 차이는 용량에 대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단순 계산 방식의 차이이며,
사람이 이해하는 숫자와 컴퓨터가 이해는 숫자에서 오는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보가 마음에 드신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컴퓨터ㆍ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바이오스(Bios)에서 스크린샷(화면) 캡처(찍는) 방법 (0) | 2021.07.12 |
---|---|
[윈도우10] 프린터 네트워크 TCP/IP에서 IP주소로 추가(설치)하기 (0) | 2021.06.28 |
컴퓨터 조립할 때 파워(PSU) 선택하는 방법(파워 계산하는 방법) (0) | 2021.06.19 |
[초보용] 파워서플라이 80 Plus 인증 등급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6.18 |
인터넷이 끊긴다면? - CMD 핑(PING) 테스트하는 방법 (0) | 2021.06.09 |
컴퓨터 프로그램 설치 없이 1분 만에 인터넷 속도 테스트(측정) - Ookla (0) | 2021.06.08 |
시게이트(Seagate) 하드디스크(HDD) A/S 보증 기간 확인하는 방법 (0) | 2021.06.06 |
[윈도우10] 컴퓨터 다크 모드(야간 모드) 적용하기 (0) | 2021.06.01 |